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이나 여러 혜택들을 보면 차상위계층이라는 단어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정확히 차상위계층이 무엇인지 이에 대해 정확히 설명할 줄 아는 분들은 아마 많이 없으실 겁니다. 그래서 오늘은 차상위계층이 정확히 무엇이고 어떠한 기준으로 정해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.
차상위계층 기준
차상위계층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보다는 소득이 많아 혜택을 못 보지만 잠재적인 빈곤층이 될 수 있는 집단을 이야기합니다.
차상위계층은 중위소득 50% 이하일 경우 해당됩니다.
그렇다면 중위소득 50% 이하는 얼마인지 알아보겠습니다.
가구원 수 | 중위소득 50% |
1인 | 913,916 |
2인 | 1,544,040 |
3인 | 1,991,975 |
4인 | 2,438,145 |
5인 | 2,878,687 |
6인 | 3,314,302 |
하지만 차상위계층 기준은 단순히 월 급여 수준만 보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재산에 대한 것도 월 소득으로 환산하여 계산됩니다. 건물, 토지, 자동차, 회원권 등 다양한 재산에 관한 부분까지 확인하는데 이것을 개인이 계산하기란 쉽지 않습니다.
그래서 간편하게 모의계산을 해볼 수 있는데 그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
'복지로'라는 단어를 포털사이트에 검색하면 홈페이지가 하나 나옵니다. 해당 사이트에 접속한 후 메뉴 중에서 복지서비스 - 모의계산으로 이동합니다.
그러면 기초연금, 장애수당 등 다양한 항목들이 있는데 이 중에서 국민기초생활보장을 선택합니다. 이 페이지에서 자신의 정보에 관하여 입력하시면 모의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참고용이고 실제 주민센터에 신청 후 심의할 때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유 유통기한 지난거 (0) | 2021.05.12 |
---|---|
운전면허 재발급 3가지 방법 (0) | 2021.05.07 |
스포츠 바우처 (0) | 2021.04.29 |
제로페이 가맹점 (0) | 2021.04.27 |
2021 근로소득 세율 구간 (0) | 2021.04.23 |
댓글